발왕산 도암댐 계곡 - 안반덕 - 발왕산 정상 - 동강
'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유산 상고대 (0) | 2015.02.01 |
---|---|
설악산 대청봉 겨울 산행 (0) | 2014.12.28 |
금대봉 대덕산 검룡소 (0) | 2012.10.07 |
대암산 용늪 가을꽃 탐방 (0) | 2012.09.11 |
아차산 야간산행 (0) | 2012.08.11 |
발왕산 도암댐 계곡 - 안반덕 - 발왕산 정상 - 동강
덕유산 상고대 (0) | 2015.02.01 |
---|---|
설악산 대청봉 겨울 산행 (0) | 2014.12.28 |
금대봉 대덕산 검룡소 (0) | 2012.10.07 |
대암산 용늪 가을꽃 탐방 (0) | 2012.09.11 |
아차산 야간산행 (0) | 2012.08.11 |
두문동재 - 금대봉 - 대덕산 - 검룡소
설악산 대청봉 겨울 산행 (0) | 2014.12.28 |
---|---|
용평 도암댐 계곡, 발왕산, 동강 1박2일 (0) | 2012.10.22 |
대암산 용늪 가을꽃 탐방 (0) | 2012.09.11 |
아차산 야간산행 (0) | 2012.08.11 |
황매산 산철쭉 산행 (2012. 5. 12) (0) | 2012.05.16 |
대암산(大岩山)은 강원도 인제군과 양구군에 걸쳐 있는 높이 1,310m의 산이다.
대우산과 천연보호구역 지정된 지역은 분지·습원등 지형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기후 조건이 특이하여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식물의 종류는 총 59과 123종으로 그 중 고층 습원의 특유종이 19종, 미기록종 15종이 알려져 있는 생물의 보고이다. 또한 동식물의 남북한계, 동서 구분의 현상이 나타나는 등 식물생태학, 식물지리학적, 식물분류학적 연구 가치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상, 특이한 지형, 지세 및 기후적 특성 등 다양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어 쳔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용늪은 대암산의 정상부인 해발고도 1,180~1,280m에 위치한 1.36㎢ 면적의 산지습지이다. 1966년 비무장지대의 생태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고 남한지역에서 유일하게 산 정상에 형성된 습지이다. 1989년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97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람사르 협약의 습지로 지정받았으며, 1999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99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당시에는 1.06㎢였으나, 2010년 8월 3일 인제군 서화면 심적리에서 고층습원 0.12㎢가 새로 발견되고 대암산 정상을 향하는 등산로가 지나는 0.18㎢ 지역의 식생 훼손우려가 있어 보호지역으로 추가되었다.
용늪은 화강암이 풍화와 침식을 받아 퇴적되어 형성된 곳으로 완만한 경사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지대의 독특한 기상조건 때문에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늦어져 유기물이 축적된 이탄층이 늪의 바닥에 평균 1.5m 깊이로 발달해 있다. 용늪의 이탄층에서 추출한 꽃가루를 분석한 결과 습지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는 약 4,200년 전으로 밝혀졌다. 용늪 이탄층의 화분분석은 고생태학과 고기후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용늪은 기온차가 심하여 하절기에는 평균기온이 17℃, 10월부터 5월까지는 영하의 기온을 보이고 있으며 안개일수가 170일 이상으로 습기가 많다. 용늪의 물 공급원은 강우, 지하수, 안개, 서리 등이다. 용늪과 주변의 물 흐름은 매우 빠른 편이고, 계곡수가 65~75%를 차지하는데 큰용늪 내로 유입되지 않고 늪 외곽으로 유출된다. 용늪의 수문환경 중 매우 중요한 인자인 수위는, 늪 외곽지역의 경우 변화폭이 커서, 많게는 30㎝ 이상의 수위차를 보이고 있으나 중앙부는 이탄층으로 인하여 갈수기 때에도 수위 변동폭이 2~3㎝에 불과해 안정적이다.
2007년 조사결과 대암산 용늪에는 64과 171속 207종 1아종 36변종 7품종의 252분류군의 식물과, 포유류 16종, 양서류 4종, 파충류 1종, 저서무척추동물 28종, 육상곤충 220종 등 301종의 야생동물 등, 총 553종의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는 기생꽃, 조름나물 등 멸종위기 야생식물 2종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산양,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삵, 참매, 까막딱따구리, 왕은점표범나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 식생타입은 26개의 식물군락으로 구성된 6가지로, 고층습원 식생인 물이끼군락과 산사초군락, 중간습원 기생인 산사초-진퍼리새군락, 삿갓 사초군락, 삿갓사초-진퍼기새군락, 저층습원 식생인 달뿌리풀-산새풀군락, 흑삼릉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다.
대암산 용늪 습지보호지역은 모두 국유지로만 구성되어 있다. 원주지방환경청은 잦은 출입으로 인한 추가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2005년 8월부터 2010년 7월 말까지 큰용늪과 작은용늪 일대의 1.06㎢ 구역을 출입금지하였다가 2010년 8월 3일 인제군과 양구군, 문화재청, 산림청 등에서 사전에 출입을 허가받은 사람에 한해 부분적인 탐방을 허용하기로 했다. 2008년에는 용늪에서 외국식물종을 전부 제거하는 행사를 하기도 했다. (이상 다음 백과 편집)
자주, 노랑, 흰물봉선
꽃향유
황금빛의 마타리
며느리밥풀 유사한 나도송이풀
미역취
참취
외래종인 미국쑥부쟁이
쑥부쟁이
붉나무 열매와 오배자라고 불리는 벌레집
가시여뀌
각시취
닭의장풀
산박하
좁쌀풀
며느리밥풀꽃
참당귀
노루귀
계란버섯
과남풀(칼잎용담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구름체
오이풀
오이풀
둥근이질풀
구절초(포천?)
구절초
쑥부쟁이
금강초롱
투구꽃
고려엉겅퀴(곤드레)
수리취
바위떡풀
난쟁이바위솔
버섯?
버섯?
신갈나무(?)
용평 도암댐 계곡, 발왕산, 동강 1박2일 (0) | 2012.10.22 |
---|---|
금대봉 대덕산 검룡소 (0) | 2012.10.07 |
아차산 야간산행 (0) | 2012.08.11 |
황매산 산철쭉 산행 (2012. 5. 12) (0) | 2012.05.16 |
검단산 제비꽃 (0) | 2012.05.02 |